"색상 관리" 탭
이 탭에서는 장치 독립형 색상의 처리와 인쇄 출력 색공간에서 적응을 매개변수화 합니다.
디지털 사진 촬영 장치(예: 디지털 카메라)의 특성 지정에서 장치별 속성은 특성 곡선의 모음 형태로 표현됩니다. 이를 위해 각 장치 유형을 따르는 규격화된 템플릿 및 측정 절차가 있습니다. 특성 곡선은 특별한 소프트웨어로 평가되고 환산됩니다. 결과로 장치 의존형 RGB-ICC 프로파일이 생깁니다. 이러한 ICC 프로파일이 기존 문서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입력 ICC 프로파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프로파일로 장치의 RGB 데이터가 CIEL*a*b* 색공간으로 변환됩니다. 변환된 이 이미지 데이터는 이제 "장치 독립형"입니다. 다음의 유형의 객체가 구분됩니다.
•CMYK / 회색조 이미지
•CMYK-/회색조 그래픽
•RGB-/ L*a*b* 이미지
•RGB-/ L*a*b* 그래픽
•별색 이미지
•별색 그래픽
색공간 "L*a*b*", "CalibratedRGB" 및 "CalibratedGray"와 이 색공간에 정의된 객체는 범용으로 정의되어 있거나 명확하게 식별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독립적입니다.
"ICC Based CMYK를 장치 CMYK와 같이 처리" 옵션
이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고객이 정의한 프로파일이 제거됩니다. 이제 문서가 색상 변형 없이 인쇄됩니다. 하지만 "장치색/Device Link" 탭에서 다른 CMYK 프로파일을 색공간 변형에 대한 입력 프로파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동작은 고객이 부적합한 프로파일을 사용한 경우 유용합니다.
출력 색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해 삽입된 ICC 프로파일이 사용됩니다. 즉, "CMYK -> CMYK 변환"이 수행됩니다.
"ICC Based RGB와 보정된 RGB를 장치 RGB와 같이 처리" 옵션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삽입된 모든 RGB ICC 프로파일이 문서 파일에서 제거됩니다. 이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장치 독립형 RGB 색공간의 문서는 "DeviceRGB" 색공간의 장치 의존형 문서로서 그에 맞게 정의된 매개변수로 처리됩니다.
장치 독립형 "CalRGB" 색공간의 색상이 색상 관리 없이 장치 의존형 "DeviceRGB" 색공간으로 변환됩니다. 그런 후 색상은 "장치색/DeviceLink" 탭의 색상 관리를 이용하여 "RGB 이미지" 또는 "RGB 그래픽"에 설정된 ICC 프로파일로 출력 색공간으로 변환됩니다. "장치 색상/장치 링크" 탭을 참조하십시오.
이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삽입된 ICC 프로파일이 출력 색공간으로의 변환에 사용되거나 "CalRGB"의 색상이 PDF 사양에 따라 "sRGB"로 처리되어 출력 색공간으로 변환됩니다.
"ICC Based 회색과 보정된 회색을 장치 회색과 같이 처리" 옵션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삽입된 모든 회색 ICC 프로파일이 문서 파일에서 제거됩니다. 이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장치 독립형 CalGray 색공간의 문서는 "DeviceGray" 색공간의 장치 의존형 문서로서 그에 맞게 정의된 매개변수로 처리됩니다.
이 색상은 K 분판으로 적용됩니다. 이 설정을 사용하여 "유색" 회색이 방지됩니다.
이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삽입된 ICC 프로파일이 출력 색공간으로의 변환에 사용되거나 "CalGray"의 색상이 PDF 사양에 따라 출력 색공간으로 변환됩니다. 이 경우 색상 값이 CMY 성분을 포함하고 있음에 유의하십시오.
ICC 프로파일의 선택에 추가로 개별 그래픽 유형 및 이미지 유형에서 표현 의도("렌더링 검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표현 의도에서 어떤 방법으로 색 공간이 조절("전반 맵핑")될지 지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색공간 변형 시에는 항상 손실이 발생하므로, 예를 들어 템플릿을 가능한 한 원본과 비슷한 사진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색상 값의 수를 제한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출력을 위해 다음의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서에서", "절대 채도", "상대 채도" "채도 유지", "사진 처리"
•문서에서
PDF 문서에서 이미지와 그래픽에 대해 정의된 색상 렌더링 검사가 사용됩니다.
주: 편집된 문서에 원하는 색공간 변환을 올바르게 제어할 수 있는 렌더링 인텐트 설정이 정의되어 있음이 확실할 경우에만 "문서에서" 항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것을 완전히 보장할 수 없으므로 이 설정은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채도 유지(영문: saturation)
출력시 색상은 색상 채도가 그대로 유지되거나 아니면 더욱 강조되어 표현됩니다. 색 공간 범위 조정 유형은 제조사에 따라 다르며 사용자가 프로파일 생성 시 부분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컬러 재현 시 채도가 가장 중요한 속성인 비즈니스 그래픽에 적합합니다.
•사진 처리(감지 지향, 영문: perceptual)
"사진 처리" 매개변수를 사용하면 템플릿의 감각적인 외관을 광범위하게 유지한 출력을 받게 됩니다. 이는 상대적인 색상 비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색상의 정확한 색차 색도 재현이 변경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출력 색 공간이 더 작을 경우 색 범위가 상응하게 압축됩니다. 반대로 출력 색 공간이 더 크고 프로파일일 적합할 경우도 색 공간이 확장될 수 있습니다. 이때 색 공간 범위 조정은 모든 자연 템플릿 색상이 대비에는 제한이 있어도 가능한 한 색조는 올바르게 표현되도록 실행됩니다. 색공간 범위 적용 유형은 제조사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어 대비 및 채도 변경과 같은 일부 요소는 사용자가 프로파일 생성 시 부분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진에 적합한 전형적인 옵션입니다.
•상대 색체계(영문: relative colorimetric)
색상은 오로지 광원을 고려하여 표현됩니다. 프린트 매체(예를 들어 빈 용지의 색상)의 렌더링 인텐트는 고려되지 않습니다. 그러면 예를 들어 모니터의 표준 백광이 프린트 매체에 정확하게 재현됩니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표기됩니다. 출력 색 공간 범위에 있는 모든 색상은 동일하게 재현됩니다. 출력 색 공간을 벗어난 모든 색상은 출력 색 공간의 경계로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비색"으로 표기됩니다.
이 표현 의도는 다양한 출력 매체의 다양한 표준 백광을 고려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나의 출력 매체에서 다른 출력 매체로 전환 시 정확한 색상 조정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템플릿의 매우 어둡거나 매우 다채로운 디테일은 구별되어 재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출력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에서는 인쇄 재료의 시뮬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시뮬레이션이 제판 용지에 수행되면 결과는 "절대 색체계" 표현 의도의 결과와 일치합니다. 무엇보다 렌더링 인텐트는 벡터 그래픽에 적합합니다.
•절대 색체계(영문: absolute colorimetric)
색상은 광원과 매체 표준 백광(예를 들어 빈 용지의 컬러)을 고려하여 표현됩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인화지의 발광체에 비해 노란빛을 띠는 신문지의 발광체는 노란색 톤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절대적"으로 표시됩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교정 출력에 맞는 표준 설정은 "절대 색차 색도"입니다. 출력 색 공간을 벗어난 모든 색상은 출력 색 공간의 경계로 나타납니다.
이 표현방법은 색상 가치가 출력 미디어에서 다른 것으로 전환될 때 정확하게 유지되는 장점을 가집니다. 하지만 출력 색 공간 밖에 있는 색상은 구별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표현방법은 다양한 출력 미디어로 정확하게 재생되어야 하는 특히 로고나 단색으로 된 사물에 적합합니다. 별색에 대해 대체 색상 표시의 색공간과 무관한 개별 렌더링 인텐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권장 값은 "절대 색체계"입니다. 이를 통해 별색이 가능한 한 잘 시뮬레이션됩니다.
"TK" 옵션을 활성화하면 검은 점 보정(영어: black point compensation) 기능이 켜집니다. 검은 점 보정은 렌더링 인텐트 "상대 색차 색도", "인식" 및 "포화"에 대해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물론 재현 특성 "상대 표색"의 경우에서만 가시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색 공간 조정 시 토너/잉크 검정보다 더 어두운 (L*a*b* 색 공간의) 모든 L 검은 점은 토너/잉크 검정으로 나타납니다. 그 결과 검은 점 보정이 감소됩니다.
이미지 심도 보정 기능은 Photoshop의 "검은 점 보정 사용"("Use Black Point Compensation")에 접한 기능입니다.
검은 점 보정은 색공간을 L*a*b* 색공간으로 변환할 때나 L*a*b* 색공간에서 장치 색공간으로 변환할 때("상대 색도" 렌더링 인텐트를 사용하는 경우) 재현 범위를 향상합니다. L*a*b* 색공간이 CMYK 장치 색공간보다 크므로 CMYK 색공간에서보다 어두운 이미지 부분의 L*a*b* 색공간에서 더 다양한 명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렌더링 인텐트 "상대 채도"를 사용하여 L*a*b* 색공간에서 CMYK 색공간으로 색공간 변환 시 심도 영역의 색공간이 잘리거나 구별되지 않고 재현됩니다. 이는 심도가 표현 가능 영역을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특히 컬러 공간-변형을 위하여 코팅되지 않은 용지에 ICC-프로파일을 사용할 경우, 이미지의 어두운 부분이 심하게 다르게 재현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미지 심도 보정 기능은 컬러 공간-변형 시 블랙 포인트를 적용하고 그로 인해 어두운 이미지 부분이 더 잘 구별되도록 작용합니다. 그 결과 심도 영역이 다시 "늘어나고", 이로 인해 밝은 컬러값에서도 색전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과정은 컬러 재현적 교정 출력에 제한적으로만 적합합니다.
이미지 심도 보정 기능을 사용하는 렌더링 인텐트 "상대 색차 색도" 대신에 렌더링 인텐트 "사진의"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재현 특성은 색 전이 동안 어두운 이미지 부분에서도 다르게 재현되는 것을 최소화합니다. 원칙적으로 색 공간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습니다.
"출력" 영역
이 영역에서는 색공간 변형을 위해 ICC 프로파일을 인쇄 프로세스의 출력 색공간에 지정하고 해당 옵션을 매개변수화 합니다.
이 필드에서 출력 프로세스 또는 적용된 인쇄기에 대한 색상 프로파일을 설정합니다. 해당 프로파일을 선택하여 예를 들어 지역별 프로세스(SWOP, EURO 등)와 같은 적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출력 유형에 따라 인쇄 프로파일은 서로 다른 대상 색공간에 할당될 수 있습니다.
•인쇄기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DeviceCMYK" 프로파일이 사용됩니다.
•예컨대 PANTONE® Hexachrome, Hifi Color 등과 같은 "멀티컬러" 프로파일도 설정될 수 있습니다.
•흑/백 출력의 경우는 "DeviceGray"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모니터 출력의 경우(예: 인터넷 사이트) "DeviceRGB"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Prinect Manager 작업 설정의 RGB 색공간("색상" 매개변수 영역)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검색..."을 누르면 적합한 인쇄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검색 대화 상자가 열립니다.
주: Prinect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ICC 프로파일의 개요를 "관리" > "자원" > "ICC 프로파일"에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새 프로파일을 가져오고, 새 프로파일 폴더를 생성하고, 프로파일을 삭제하는 등등을 여기서 할 수 있습니다. ICC 프로파일은 "SysConfig\자원\ICC 프로파일" 폴더에 저장됩니다. "SysConfig"은 Prinect 서버에서 사용 허가된 구성 폴더입니다.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작업 설정의 인쇄 프로파일 사용" 옵션
이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색상" 또는 "인쇄 프로세스" 매개변수 영역의 작업 설정에서 작업에 할당된 출력 인쇄 프로파일이 사용됩니다.
작업 설정에 있는 "인쇄 프로세스" 매개변수 영역의 "일관성 검사" 영역에서 작업에 할당된 인쇄 프로파일이 용도에 적합한지를 검사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인쇄 프로파일 앞에 녹색 점이 있을 경우 작업을 선택한 인쇄 프로파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인쇄 프로파일 앞에 노란색 삼각형이 있을 경우 충돌이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인쇄 프로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경우 PDF/X-Output-Intent를 인쇄 프로파일로 사용"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Prinect Manager는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Output Intent로써 ICC 프로파일이 포함된 PDF/X 파일이 처리될 경우 포함된 색 공간 재현용 인쇄 프로파일이 사용됩니다. "인쇄 프로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프로파일은 무시됩니다.
Output Intent가 없을 경우 "인쇄 프로파일"에서 설정된 ICC 프로파일이 사용됩니다.
•이 옵션이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인쇄 프로파일"에 설정된 인쇄 프로파일은 색공간 변환용으로 사용됩니다.
삽입되어 있을 수 있는 PDF/X Output Intent는 출력 정보의 경우 컬러 공간-변환에 사용됩니다.
Prinect 워크플로에서 PDF/X-지침에 따라 작업을 처리하고자 한다면, 항상 이 옵션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사용한 인쇄 프로파일을 PDF/X-Output-Intent로 삽입"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사용된 인쇄 프로파일이 PDF/X Output Intent로 PDF 파일에 삽입됩니다. 추가로 이 옵션과 "사용 가능할 경우 포함된 PDF/X Output Intent를 인쇄 프로파일로 사용" 옵션이 활성화되고 PDF/X Output Intent가 편집된 PDF/X 파일에 있을 경우 포함된 Output Intent로 지정된 ICC 프로파일이 "인쇄 프로파일"에 설정된 프로파일을 대체하고 출력용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이 포함된 프로파일은 내보내기시 새 Output Intent로 포함됩니다. 이 옵션은 데이터 교환을 위해 매우 적합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경우에서 "인쇄 프로파일"에 설정된 프로파일은 PDF/X Output Intent로 PDF 데이터에 포함됩니다.
이 옵션이 비활성화되면 설정된 인쇄 프로파일은 PDF/X Output Intent로 PDF 파일에 포함됩니다.
"PDF/X-Output-Intent가 CMYK-입력 프로파일로 사용이 가능할 경우"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화면, PDF/X 데이터를 정의된 Output-Intent와 포함된 ICC 프로파일로 처리하는 경우 이것이 CMYK 이미지와 CMYK 그래픽 입력 프로파일로 사용됩니다. 이 용도에 해당되지 않게 "장치 색상 / Device 링크" 탭에서 설정된 ICC 프로파일은 무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