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맥에서 "렌더링" 용어의 의미는 교정에서 특별히 표현을 위해 문서 데이터의 준비를 뜻합니다. 이 옵션의 "장치" 매개변수 영역에서는 선택된 교정기의 특수 설정을 조정할 수 있고 "교정 색 관리" 매개변수 영역에서는 교정 시 색상 재현과 관련된 사항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장치" 영역
이 영역에서는 "대상" 선택 목록에서 설정된 Proofer의 장치별 매개변수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매개변수의 선택은 장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고: "장치" PDF 내보내기가 선택되면 교정 색상 관리가 꺼진 경우 출력 의도를 포함하는 첫 번째 소스 PDF 문서의 출력 의도가 PDF 내보내기 출력 의도로 적용됩니다. 소스 PDF 문서에 출력 의도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내보내진 PDF 형식은 PDF/X로 씌어지고 출력 의도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교정 색상 관리가 켜진 경우 내보내진 PDF 형식에 교정기 ICC 프로파일을 출력 의도로 입력합니다.
"유형" 필드
여기서는 "대상" 선택 목록에서 설정된 교정 장치가 표시됩니다.
"크기" 선택 목록
교정 매체의 재료 크기를 이곳에 설정합니다. "치수" 필드에는 치수가 여러 측정 단위로 표시됩니다.
"가장자리 없이 인쇄" 옵션
이 옵션이 활성화되었고 선택된 Proofer에 해당 기능이 있는 경우 가장자리 없이 인쇄가 됩니다.
"재료" 선택 목록
있을 경우 여기서 교정에 대한 여러 용지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설정 옵션은 각 Proofer 장치 드라이버(예: Prinect Color Proof Pro)의 속성에서 판독되어 Prinect Cockpit으로 전송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활성화된 장치에 따라 여기에서 여러 재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상도" 선택 목록
선택 목록에서 Proofer에 대해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합니다. 제공된 해상도는 Proofer의 속성에 의존합니다.
"Inspection Control을 위한 최적화" 옵션
전제조건: 다음 전제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이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IFF" 유형의 "Soft Proof 인쇄기"에 Proofing Engine Manager가 설정되어 있고 해당 인쇄기가 RGB 색공간용으로 매개변수화되어야 합니다. 또한 이 "Soft Proof 인쇄기"가 PageProof 시퀀스용으로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PageProof" 시퀀스가 Inspection Control용 특수 Tiff 파일을 생성합니다. 그러면 출력 파일은 다음의 매개 변수화를 얻게 됩니다.
•해상도는 Inspection Control에 필요한 200 dpi로 설정됩니다.
•앤티에일리어싱 팩터 6이 설정됩니다. 이로 인해 Inspection Control 스캔 결과물에 최적으로 상응하는 상당히 다듬어진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인터프리터 해상도" 선택 목록
선택 목록에서 인터프리터에 대해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합니다. 개별 인쇄기에 대해 인터프린터 해상도를 인쇄기 해상도와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작업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인터프리터 해상도를 작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앤티얼라이징"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교정 데이터를 계산할 때 앤티얼라이징 방식이 사용됩니다. 앤티얼라이싱은 해상도가 전체 한계를 초과할 때 자동으로 비활성화됩니다. 이 경우에 품질 개선이 불가능하며 작동된 앤티얼라이싱은 데이터 양을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
"잉크" 선택 목록
Color Proof Pro Engine Manager에서 "Profile Keeper"를 통해 교정 장치에 따라 여러 잉크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맞게 여기서 이 PageProof 시퀀스로 교정 출력에 사용할 잉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Epson Stylus Pro 7600용으로 예를 들어 무광택 또는 광택 용지가 제공됩니다. Proofer가 설정된 잉크로 충전되어 있는 지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급지기" 선택 목록
출력 장치에 여러 용지 급지기가 있을 경우 여기서 용지 급지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Epson Stylus Pro 7900의 경우 예를 들어 "단일 시트(Single Sheet)"나 "롤(Roll)"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ofer 프로파일" 선택 목록
여기서 선택된 매개변수 "용지 종류", "해상도" 및 "잉크"로 인해 사용된 프로파일이 표시됩니다. Color Proof Pro Engine Manager에서 용지 종류, 해상도, 잉크로 이루어진 매개변수 조합에 대해 EPL/ICC 조합이 여러 개 생성된 경우(예를 들어 다른 품질 모드로) 여기에서 프로파일 이름으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시각적 수정" 옵션
Color Proof Pro Engine Manager에서는 Proofer 색상 표현의 시각적 재선형화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인쇄 및 교정 결과를 눈으로 평가하고 이에 따라 개별 색상 분판 또는 색상 분판 그룹에 대해 그라데이션 곡선을 수동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설정은 파일(*.lvc)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교정 출력의 재선형화를 이용하려면 이 옵션을 활성화하고 "검색" 버튼을 눌러 원하는 ".Ivc 파일"을 선택합니다.
"색분리" 선택 목록
여기서는 프로세스나 특수 색 분해로 교정시 발생할 사항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색상을 회색조로 변환
모든 CMYK 색상 채널 및 별색 채널(색 분해)은 검정 채널로 이미지화됩니다. 검은색 비율 외에도 청록색, 자홍색, 노란색, 별색 비율이 회색조로 포함되어 있는 검은색 분리가 결과로 생성됩니다.
•별색 처리를 장치에 위임(사전 설정)
별색의 처리는 선택된 교정 장치에 대해 매개변수화된 Engine Manager(Color Proof Pro, Proofing Engine Manager)에서 설정된 대로 수행됩니다. "실제" 교정 장치, 즉, 인쇄된 교정이 생성된 장치에서는 별색이 일반적으로 프로세스 색상으로 변환됩니다. "TIFF Export"(Proof Open)와 같은 "Softproof" 장치 또는 특수 Proofer로 별색도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oofColor/Dieline 색상 제거" 옵션
이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ProofColor" 또는 "DieLine" 색상에 정의되어 있는 대상이 교정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객체는 예를 들어 트림 마크 또는 레지스터 마크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마크는 Formproof 용으로 지정되고 색상 교정에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ofColor" 색상은 특수 별색으로, Formproof 출력에 나타나야 하지만 이미지 세터 출력 시에는 나타나면 안 되는 객체의 서명 레이아웃을 작성할 때 Prinect Signa Station에서 지정됩니다. 이러한 객체는 예를 들어 트림 마크 또는 레지스터 마크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별색 "DieLine"이 Prinect Signa Station의 표시 레이어에서 사용됩니다. "DieLine" 색상 라인은 페이지와 시트 포맷을 묘사합니다.
"투명 분리 제거"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투명 분판은 교정에 표시되거나 출력되지 않습니다.
"교정에 트림 영역 표시"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교정의 각 페이지에 대한 최종 포맷 프레임(트림 영역)이 함께 출력됩니다.
"Step and Repeat 최적화" 옵션
이 옵션은 여러 동일한 페이지가 한 시트에 배치된 인쇄 작업용으로 사용됩니다(다중 사본). Step and Repeat 최적화의 목적은 처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반복된 오브젝트를 각 한 번씩만 해석하고자 하는 데 있습니다.
"스텝과 반복 최적화" 옵션을 활성화하여 이 기능을 사용 설정합니다. 그러면 다중 사본이 포함된 인쇄 작업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객체는 각각 한 번만 해석됩니다.
제한:
다음 조건 중 최소 하나가 있는 경우, 처리 동안 옵션이 켜져 있어도 Step and Repeat 최적화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여러 번 나타나는 페이지가 회전되어 있고 회전은 90° 이상 이루어지지 않습니다(예: 절단 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해 1°).
•페이지는 교정 출력을 위해 "임포지션 > 너무 작은 매체의 경우 > 여러 매체를 통해 타일링" 옵션의 선택으로 나뉘어집니다.
"출력 색공간이 출력 의도 ICC 프로파일로 출력 파일에 삽입됨" 옵션
PageProof 또는 ImpositionProof 시퀀스 내에 출력 장치로 "PDF 내보내기", "SoftProof" 또는 "TIFF 내보내기"가 선택되면 이 옵션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됩니다. 옵션이 활성화되면 출력 색 공간이 ICC 프로파일 Photoshop 태그 또는 출력 의도로 교정 출력 파일에 입력됩니다.
참고: PDF 내보내기 시 출력 의도의 취급 PageProof 또는 ImpositionProof 시퀀스에서 "PDF 내보내기"의 출력장치로 선택되면 교정 색상 관리가 꺼져 있는 경우 우선 편집된 PDF 문서의 출력 의도를 내보내진 PDF에 출력 의도로 적용합니다. 편집된 PDF 문서에 출력 의도가 없는 경우 내보내진 PDF는 PDF/X로 씌어지고 출력 의도가 입력되지 않습니다. 이전 버전에서는 이러한 경우 항상 기본 프로파일(IsoCoated V2)를 출력 의도로 입력하였습니다.
교정 색상 관리가 켜진 경우 내보내진 PDF에 교정기 프로파일을 출력 의도로 입력합니다.
Prinect 워크플로에서는 색상 관리를 "색 변환" 옵션 형식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매개변수화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은 Prinect 워크플로의 여러 영역에 영향을 미칩니다(영역에서 활성화되는 시퀀스에 따라). 교정 출력에서는 "색 변환" 옵션에서와 같이 매개변수에 의해 파악되지 않는 특수 색상 관리 매개변수가 중요합니다. 이와 같은 매개변수는 예를 들어 특수 장치 프로파일, 교정 옵션(예: 용지 백색 시뮬레이션) 등입니다. 이 옵션을 "교정 색상 관리" 영역에서 매개변수화할 수 있습니다. "실제 교정장치"에서 색상 페이지 평가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페이지 교정에서는 정확한 교정 색상 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영역에서의 설정은 매우 주의 깊게 수행해야 합니다.
참고: 평가 장치로 출력으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Softproofer"가 설정되면, Proof Color Management는 사전 설정으로 비활성화됩니다. 이로써 색상값의 실제 측정이 비트맵 뷰어에서 실행될 수 있게 됩니다.
이 경우 정확한 색상 관리를 위해 이미지 뷰어가 제공되거나 Remote Approval 워크플로에서는 PixelProof 뷰어가 제공됩니다.
반대로 Portal 서비스 Booklet 감소 도구의 "JPEG" 파일 유형에서는 교정 색상 관리를 활성화하고 sRGB 교정 프로파일(예: "HDM_sRGB_Profile.icm")을 선택해야 합니다.
참고: 스펙트럼 알고리즘을 정확한 L*a*b* 별색 정의에 맞춰 조정함으로써 렌더러 출력 시 교정쇄의 별색 표현이 더욱 최적화되었습니다.
"Proof Color Management" 매개변수 영역은 해당 옵션 박스로 활성화됩니다.
"인쇄 프로파일" 필드
오프셋 인쇄 프로세스와 교정 출력 간의 일치를 유지하기 위해 이곳에서 오프셋 인쇄 프로세스 출력 기본(예: ISO coated)을 표시하는 인쇄 출력 프로파일(ICC 프로파일)을 선택해야 합니다. 여기서 선택한 프로파일은 "Prepare" 시퀀스의 "색 변환 > 출력"에서 선택한 인쇄 프로파일과 동일해야 합니다. 인쇄 출력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인쇄 프로세스의 교정 색상 관리가 실행하는 색상 적용을 지정합니다. 인쇄 프로파일은 교정 출력시 Proofer에서의 출력 프로세스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일련의 표준-인쇄-출력 프로파일은 이미 Prinect 소프트웨어에서 설치되어 있습니다. "검색"을 클릭하면 인쇄 프로파일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사전 설치된 인쇄 프로파일이 있는 폴더가 Prinect 환경에서 열립니다. 프로파일의 경로와 이름을 수동으로도 입력할 수 있습니다.
Prinect 워크플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ICC 프로파일의 개요는 "관리" > 리소스 > "ICC 프로파일" 영역에 표시됩니다. 또한 새 프로파일을 가져오고, 새 프로파일 폴더를 생성하고, 프로파일을 삭제하는 등등을 여기서 할 수 있습니다. ICC 프로파일은 "SysConfig\자원\ICC 프로파일" 폴더에 저장됩니다. "SysConfig"은 Prinect 서버의 사용 허가된 구성 폴더입니다.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작업 설정의 인쇄 프로파일 사용" 옵션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인쇄 프로세스" 탭의 작업 설정에서 작업에 할당된 출력 인쇄 프로파일이 사용됩니다.
작업 설정에 있는 "인쇄 프로세스" 매개변수 영역의 "일관성 검사" 영역에서 작업에 할당된 인쇄 프로파일이 용도에 적합한지를 검사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인쇄 프로파일 앞에 녹색 점이 있을 경우 작업을 선택한 인쇄 프로파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인쇄 프로파일 앞에 노란색 삼각형이 있을 경우 충돌이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인쇄 프로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삽입된 PDF/X-Output-Intent를 인쇄 프로파일로 사용"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시스템이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
·Output Intent로써 ICC 프로파일이 포함된 PDF/X 파일이 처리될 경우 포함된 색 공간 재현용 인쇄 프로파일이 사용됩니다. "인쇄 프로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프로파일은 무시됩니다.
·Output Intent가 없을 경우 "인쇄 프로파일"에서 설정된 ICC 프로파일이 사용됩니다.
•이 옵션이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인쇄 프로파일"에 설정된 인쇄 프로파일은 색공간 변환용으로 사용됩니다.
삽입되어 있을 수 있는 PDF/X Output Intent는 출력 정보의 경우 컬러 공간-변환에 사용됩니다.
PDF/X-지침에 따라 작업을 처리하고자 한다면, 항상 이 옵션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Prinect 렌더러는 특수한 스펙트럼 알고리즘으로 교정 출력을 위한 별색을 처리하여 이 색을 교정기 색 공간에 나타냅니다. 가능한 한 실제에 가까운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오프셋 ISO 용지 유형 모의 실험에 다양한 스펙트럼 데이터 세트가 사용됩니다.
"오프셋 인쇄 ISO 용지 유형" 선택 목록에서 오프셋 인쇄에 사용해야 할 ISO 용지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선택으로 교정 출력 시 어떤 스펙트럼 데이터 세트가 모의 실험에 사용될지 제어합니다. 이 기능은 교정에서 매우 정확한 별색을 재현합니다.
참고: Imposition 교정에서 ISO 용지 유형에 대한 이러한 선택은 레이아웃 프린트 소재의 ISO 용지 유형이 설정되어 있는 한 이러한 용지 유형에 의해 덮어쓰기 됩니다.
"Proofer 프로파일" 옵션
여기서 교정 출력을 하는데 사용할 Proofer의 출력 프로파일을 선택합니다. 이 프로파일은 색상 관리가 변형을 위해 실행된 Proofer의 장치 색공간에 사용합니다. 일련의 표준-인쇄-출력 프로파일은 이미 Prinect 소프트웨어에서 설치되어 있습니다. "검색"을 클릭하면 인쇄 프로파일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사전 설치된 인쇄 프로파일이 있는 폴더가 Prinect 환경에서 열립니다. 프로파일의 경로와 이름을 수동으로도 입력할 수 있습니다.
Prinect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ICC 프로파일의 개요는 "관리" > 리소스 > "ICC 프로파일" 영역에 표시됩니다. 또한 새 프로파일을 가져오고, 새 프로파일 폴더를 생성하고, 프로파일을 삭제하는 등등을 여기서 할 수 있습니다. ICC 프로파일은 "SysConfig\자원\ICC 프로파일" 폴더에 저장됩니다. "SysConfig"은 Prinect 서버의 사용 허가된 구성 폴더입니다.
참고: 색상 그대로 교정 출력하려면 사용한 Proofer를 사용한 매체 및 잉크와 함께 개별적으로 규정하고 여기서 생성된 ICC 프로파일을 가져오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제공된 기본 교정 출력 프로파일은 시험 용도로 사용되며 고품질 교정 출력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참고: 해당 프로파일이 이미 Color Proof Pro 소프트웨어의 장치 설정에서 매개 변수화되었기 때문에 Color Proof Pro에 의해 제어되는 Proofer에서는 Proofer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렌더링 인텐트" 선택 목록
ICC 프로파일의 선택에 추가로 개별 그래픽 유형 또는 문서에서 수행할 수 있는 이미지 유형에서 표현 의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렌더링 인텐트는 칼라 스페이스 조정의 수행 방법을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칼라 스페이스 변형 시에는 항상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템플릿을 사진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색상값의 수량을 제한하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출력을 위해 다음의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채도 유지", "사진 처리", "상대 색도", "절대 색도":
•채도 유지(영문: saturation)
출력시 색상은 색상 채도가 그대로 유지되거나 아니면 더욱 강조되어 표현됩니다. 이 경우 색상의 정확한 색차 색도 재현을 유지하거나 유지하지 못 할 수도 있습니다. 색 공간 범위 조정 유형은 제조사에 따라 다르며 사용자가 프로파일 생성 시 부분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컬러 재현 시 채도가 가장 중요한 속성인 비즈니스 그래픽에 적합합니다.
•사진 처리(감지 지향, 영문: perceptual)
"사진 처리" 매개변수를 사용하면 템플릿의 감각적인 외관을 광범위하게 유지한 출력을 받게 됩니다. 이는 상대적인 색상 비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색상의 정확한 색차 색도 재현이 변경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출력 색 공간이 압축됩니다. 즉, 색상이 템플릿에 있었던 것보다 "적게" 출력된다는 의미입니다. 이때 색 공간 범위 조정은 모든 자연 템플릿 색상이 대비에는 제한이 있어도 가능한 한 색조는 올바르게 표현되도록 실행됩니다. 색공간 범위 적용 유형은 제조사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어 대비 및 채도 변경과 같은 일부 요소는 사용자가 프로파일 생성 시 부분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진에 적합한 전형적인 옵션입니다.
•상대 색체계(영문: relative colorimetric) (용지 흰색 시뮬레이션 없음)
색상은 오로지 광원을 고려하여 표현됩니다. 프린트 매체(예를 들어 빈 용지의 색상)의 렌더링 인텐트는 고려되지 않습니다. 그러면 예를 들어 모니터의 표준 백광이 프린트 매체에 정확하게 재현됩니다. 출력 색 공간 범위에 있는 모든 색상은 동일하게 재현됩니다. 출력 색 공간을 벗어난 모든 색상은 출력 색 공간의 경계로 나타납니다. 렌더링 인텐트는 다양한 출력 매체의 다양한 표준 백광을 고려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나의 출력 매체에서 다른 출력 매체로 전환 시 정확한 색상 조정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템플릿의 매우 어둡거나 매우 다채로운 디테일은 구별되어 재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출력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에서는 인쇄 재료의 시뮬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시뮬레이션이 제판 용지에 수행되면 결과는 "절대 색체계" 표현 의도의 결과와 일치합니다. 무엇보다 렌더링 인텐트는 벡터 그래픽에 적합합니다.
•절대 색체계(영문: absolute colorimetric) (용지 흰색 시뮬레이션)
색상은 광원과 매체 표준 백광(예를 들어 빈 용지의 컬러)을 고려하여 표현됩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인화지의 발광체에 비해 노란빛을 띠는 신문지의 발광체는 노란색 톤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교정 출력에 맞는 표준 설정은 "절대 색차 색도"입니다. 출력 색 공간을 벗어난 모든 색상은 출력 색 공간의 경계로 나타납니다. 이 표현방법은 색상 가치가 출력 미디어에서 다른 것으로 전환될 때 정확하게 유지되는 장점을 가집니다. 하지만 출력 색 공간 밖에 있는 색상은 구별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표현방법은 다양한 출력 미디어로 정확하게 재생되어야 하는 특히 로고나 단색으로 된 사물에 적합합니다.
참고: 트루 컬러 교정 출력에서는 다음과 같은 설정을 렌더링 인텐트에 맞게 수행해야 합니다.
페이퍼 화이트 시뮬레이션이 필요하지 않다면 "상대 색도" 렌더링 인텐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페이퍼 화이트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면 "절대 색도" 렌더링 인텐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소스 및 대상 색공간의 공통 분모 내에 있는 모든 색상은 동일하게 표현됩니다. Proofer에서는 일반적으로 시뮬레이션해야 할 인쇄 출력보다 더 큰 색공간을 설명하므로 이 표현 동작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정해야 하는 컬러 파일의 컬러를 교정기-컬러 공간 외부에 놓아야 한다면, 이 컬러는 교정기-컬러 공간의 "테두리"에 나타납니다. 이는 교정기-컬러 공간 외부에 있는 모든 컬러는 여전히 교정기가 지원하는 컬러를 사용하여 구별없이 나타난다는 의미입니다. 이로 인해 깊이가 더 이상 단계적으로 잘 이미지화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진 처리" 렌더링과 "채도 유지"는 교정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트루 칼라 교정 미리보기에 중요성을 두지 않고 색상 인쇄를 위해 교정 장치에 이 시퀀스를 사용하려면 "PageProof" 시퀀스에서 그것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색상 관리가 순수 100% 검정(예: 텍스트 검정)을 변경하지 않습니다.
참고: 이 옵션은 "검정 색조 유지" 옵션에서 설정된 매개변수에 덧붙으며 CMYK 출력에 작용합니다. 즉 "검정 색조 유지" 옵션의 매개변수를 무효화합니다. CMYK 출력에 "검정 색조 유지" 옵션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 이 옵션을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이 옵션은 CMYKOG 또는 CMYKRGB 출력 색공간이 있는 멀티컬러 Proofer로 출력할 때도 유효합니다. 반면 "검정 색조 유지" 옵션은 해당 Proofer에서 유효하지 않습니다(다음 참고 사항 참조).
"검정 색조 유지" 옵션
참고: 입력 프로파일 및 출력 프로파일이 각각 CMYK 프로파일인 경우에만 "검정 색조 유지" 매개변수가 적용됩니다. 특히 CMYKOG 또는 CMYKRGB 출력 색공간이 있는 멀티컬러 Proofer에는 이 설정이 작용하지 않습니다. 이 Proofer에서 100% 검정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100% 검정 유지" 옵션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인쇄 작업은 종종 검은색을 "길게" 또는 "짧게"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피부 색조의 경우 래스터 인쇄의 부드러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검은색을 짧게 사용하거나 검은색 또는 금속성 페인트의 기술 장치의 그림에서 그레이 밸런스를 안정화 하기 위해 검은색을 길게 사용합니다. 어두운 영역의 대비 및 상세 도면을 개선하기 위해 덜 검은색(K)만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짧은 검정색"이라 합니다. 색상 혼합에서 다소 크고 각각 동일한 세 가지 유채색 C, M, Y의 영역을 교체하고 인쇄시 색상량을 줄이기 위해 검정색이 사용된 경우 "긴 검정색"이라 합니다.
인쇄 작업 시 프로세스 변환이 실행되면(CMYK에서 계획된 출력 장치의 CMYK로 색상 관리), 출력물의 블랙 채널 길이는 일반적으로 출력 프로파일의 구조에 의해서만 결정됩니다. 그러나 Heidelberg 색상 관리는 프로세스 변환 시 출력 프로파일의 검정 구조가 입력 프로파일의 검정 구조와 유사하도록 변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출력 프로파일의 오리지널 검정 구조가 입력 프로파일의 검정 구조보다 긴 경우에만 효과가 있습니다.
이 옵션은 CMYK 그래픽과 이미지의 검은색 함량에 효과가 있습니다. 옵션이 활성화되면 검정 구조가 작업에 있는 것처럼 가능한 오랫동안 유지됩니다. 검은색 톤의 시각적 표현을 유지하기 위해 적용이 필요할 경우에만 색상 관리가 적용을 실행합니다.
"특별", "기본", "K=K" 옵션
•특수(기본)
이 설정은 다음과 같이 작동하는 특수 절차를 의미합니다.
·중간 및 밝은 색조의 경우 C, M, Y 색상이 대상 CMY 색공간으로 변환됩니다. K는 그라데이션 곡선을 사용하여 변환됩니다.
·어두운 색조의 경우 K가 있는 특수 4차원 이미지가 사용됩니다.
긴 테스트 순서에서 이 과정이 최고임이 증명되었습니다. 매개변수 "특별"은 복잡한 문서에서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 매개변수는 Heidelberg 색상 관리에만 있습니다. 이 설정은 텍스트, 색상 및 회색조가 포함된 문서용으로 적합합니다.
•기본
C, M, Y는 대상 CMY 색공간으로 변환되고 K는 그라데이션 곡선을 사용하여 대상 밀도로 변환됩니다. 그라데이션 곡선은 경우에 따라 검정 잉크의 서로 다른 밀도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 설정은 회색조 이미지가 포함된 문서에 적합합니다.
•K=K
대상 CMY 색공간의 C, M, Y 색상만 변환되고 K는 변환되지 않습니다. 검정 구조는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이 설정은 높은 텍스트 비율과 선 그래픽이 포함된 문서용으로 적합합니다.
참고: 기존 및 대상 색공간의 검은색 잉크 밀도가 서로 다르면 출력 시 "K=K" 설정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참고: 활성화를 통해 작업의 계산 시간이 경미하게 증가되는 경우라도 "검정 구조 유지" 옵션을 기본적으로 활성화할 것을 권장합니다.
교정 출력에서는 별색이 CMYK 비율로 대체됩니다. 다음의 옵션을 사용하여 별색의 겹쳐찍기 동작을 매개변수화할 수 있습니다.
"별색의 가장 유사한 인쇄 표현(결합 인쇄 및 불투명도)"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별색의 교정에 대해 내부 별색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사용됩니다.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알려진 별색에 관하여 교정에서 별색에 대해 매우 정확한 표현을 할 수 있게 한 자세한 정보가 예치되어 있습니다. 이 동작은 별색 표시에 비해 색상표에서 정의된 프로세스 색상 대체에서 현저한 개선을 보여줍니다.
교정에서 별색의 표시를 위해 정확한 분석과 테스트 시리즈 후에 식별된 프로세스 색상 대체를 위한 값이 사용됩니다. 이때 또한 색상표에서 또는 작업설정에서 정의된 별색의 불투명도가 정확히 변환됩니다.
참고: 교정에서의 별색 표현을 다룬 이 방법에서 표시할 수 있는 별색의 개수는 제한되어 있습니다. 별색의 최대 수는 다음 공식에 따라 계산됩니다.
표시할 수 있는 별색의 최대 수 = 32 - 2 x 프로세스 색상의 수.
예를 들어 프로세스 색상(CMYK)을 4개 출력하면 별색의 최대 수는 32 - 2 x 4 = 24입니다.
프로세스 색상(헥사크롬)이 6개이면 프로세스 색상의 최대 수는 32 - 2 x 6 = 20입니다.
별색의 최대 수가 초과되면 색상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색상 대체로 교정 출력이 수행됩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교정에서 전적으로 다른 별색의 표현을 야기합니다. 위의 공식에 따라 별색의 최대 수가 초과되면 이 전환이 바로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십시오!
"색상표에 불투명으로 정의된 색상은 100% 불투명으로 표시" 옵션
모든 별색이 100% 불투명하게 인쇄됩니다.
주의: 이 옵션은 별색이 교정 시 반드시 불투명하게 출력되어야 하는 특수 적용 상황에서만 사용됩니다. 별색의 불투명한 교정 출력이 실제로 필요한 것이 확실할 경우에만 이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프로세스 색상으로 정의된 객체가 불투명한 별색으로 덮이고 교정에서 불투명으로 정의된 별색으로 덮히지만 인쇄에서는 나중에 볼 수 있게 되는 상황("비침")이 발생합니다.
"겹쳐찍기 확인을 위해 모든 별색을 투명하게 인쇄"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모든 별색이 투명하게 인쇄되며 색상표에 원래 정의된 불투명도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별색 객체가 겹쳐찍기로 정의되었으나 원래는 녹아웃으로 설정되었어야 했을 경우 교정 출력에서 더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 객체로 인해 배경이 후에 인쇄에서 원치 않게 "비춰질" 수 있습니다.
"오프셋 인쇄를 투명한 필름에 교정 인쇄하기 위한 인쇄 색상 순서 워크 앤 트위스트(Work-and-Twist)"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교정 출력이 오프셋 인쇄에 반대 순서로 수행됩니다.
이 옵션은 투명 박지에 오프셋 인쇄가 출력되고 교정 시 이 출력이 시뮬레이션되어야 하는 경우를 위해 제공됩니다. 이 경우 별색 겹침 인쇄(예를 들어 화이트 배경)가 사용되면 어떤 색 분리가 오프셋 인쇄에서 유화면을 어떠한 색 분리로 나타낼지 또는 색상을 어떤 순서로 결합 인쇄할지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오프셋 인쇄에서 유화면이 뒤에 있으면 겹합 인쇄 시뮬레이션을 위해 교정 시 색 순서를 반대로 해야 합니다.
예: 오프셋 인쇄에서 투명 필름에 인쇄함, 색상 순서는 BCMY임. 추가 요소로 배경에 다른 색상이 중첩된 불투명한 백색이 인쇄됩니다. 즉 관찰자가 볼 때 배경에서 유화면이 있습니다. Proofer에서 이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색 합산 시 불투명한 흰색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사본을 덮어버리기 때문에 첫 번째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불투명한 흰색은 일반적으로 겹쳐찍기되는 모든 별색 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적용 예입니다.
참고: 인쇄 색상 순서를 반대로 하면 겹침 인쇄 시 예상되는 층 두께 변화로 발생하는 효과가 더 이상 고려되지 않습니다.
흰색 옵션 (예: Epson WT7900)이 있는 Proofer를 사용할 때 그리고 WHITE_INK 분판을 인쇄할 때는 Color Proof Pro Engine Manager에서 인쇄 색상 순서가 올바르게 매개 변수화되는지에 대해 주의해야 합니다.
"DieLine 색상을 불투명하게 표시" 옵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교정 출력에 DieLine 색상("ProofColor/Dieline 색상 제거" 옵션도 참조)이 불투명하게 표시됩니다. 이 옵션은 다음과 같이 작용합니다.
•"CMYK + 별색" 색상 모델에서 출력(하드프루프 또는 소프트프루프)이 이루어지면 기본적으로 이 옵션은 효과가 없습니다.
•출력 색상 모델이 "CMYK + 별색"(즉 예를 들어 RGB 및 CMYK Tiff 출력용)이 아닌 경우에는 이 옵션이 출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소프트프루프 출력에 있어서는 "CMYK + 별색" 색상 모델이 사용되므로, 이 옵션은 소프트프루프 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중복 인쇄 별색을 위한 고정밀 그라디언트 계산(계산 시간이 길어짐)" 옵션 — ISO 오프셋 프로세스에서는 필요 없음
이 옵션을 사용하여 교정 색상 관리에서 별색 그라디언트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중복 인쇄 별색을 위해 정의된 색상 그라디언트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색상 그라디언트가 특수하고 복잡한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그러면 별색이 없는 영역에서 별색이 아주 얇게 적용되는 영역으로 전환하는 부분의 그라디언트가 부드러워집니다. 특히 비표준 인쇄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경우 이 옵션이 없으면 전환부에서 드문드문 균열이 보일 수 있습니다.
참고: 이 옵션은 렌더링 인텐트 "상대 표색" 및 "절대 표색"과 함께 사용해야 의미가 있습니다. ISO 오프셋 프로세스에서 교정할 때는 이 옵션이 유용하지 않습니다.
주의: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교정 계산 시간이 길어집니다. 따라서 색상 그라디언트 균열을 포함한 문제가 실제로 발생할 때만 이 옵션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색상 처리" 영역
"겹쳐찍기 에뮬레이션" 옵션
이 옵션은 교정 출력을 위해 InRIP 변환을 통해 CMYK로 변환되는 별색의 겹침 인쇄 동작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CMYK로 변환된 별색을 위해 초기 별색의 겹침 인쇄 양상이 시뮬레이션됩니다. 이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별색이 "겹침 인쇄되지 않음"으로 변환됩니다.